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12738
- 13975
- Java
- EntityGraph
- no offset
- 이진 탐색
- 무한페이징
- 2512
- dto projection
- 로그
- 3187
- DP
- 모니터링
- join제거
- 백준
- 이분 탐색
- 19598
- 20115
- 1495
- 14921
- Promtail
- binary search
- Upper bound
- Blue/Green
- Lower bound
- 11501
- greedy
- NCP
- 그리디
- slice개념
- Today
- Total
목록SpringBoot (27)
멘지의 기록장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Request Validation HTTP request를 통해 데이터를 받는 경우 데이터의 형태가 올바른지 아닌지 판단하여 아닌 경우에 Bad request를 보내야 한다. { "name": "홍길동", "age":15, "email":"qwewqd", "phoneNumber":"0111111" } JSON 형식의 데이터가 POST request의 Body로 넘어왔을 때 위의 경우는 email의 형식(xxx@email.com)도 맞지 않고, 전화번호(010-xxxx-xxxx)의 형식도 맞지 않다. 그렇다면 이러한 잘못된 데이터들은 어떻게 Validation 해야할까? 초기의 Validation 과거에는 if문을 사용하여 값의 오류를 체크하고, 조건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 bad request를 보내는 등..

@Component ➡️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 (@Controller, @Service, @Repository) 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, 기본으로 싱글톤(유일하게 하나만 등록해서 공유)으로 등록 ➡️ 같은 스프링 빈 = 같은 인스턴스 DI (Dependency Injection) = 의존성 주입 : 어떤 객체가 사용하는 의존 객체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닌, 주입받아 사용하는 방법 ex) 장난감에 배터리가 다 된 경우, 장난감 자체를 바꾸는 것이 아닌 배터리만 교체하는 것 필드 주입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 🚨 @Autowired를 통한 DI는 스프링이 관리하는 객체에서만 동작!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지 않고 직접 생성한 객체에서는 동작 X 🚨 우선순위 : 컨트롤..